트리피드의 날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트리피드의 날은 존 윈덤의 1951년 종말론적 SF 소설이다. 초록색 유성우가 내린 후, 인류 대부분이 시력을 잃고, 소련에서 개발된 육식성 보행 식물인 트리피드가 인간을 위협하는 세상에서 살아남은 사람들의 이야기를 그린다. 소설은 빌 메이슨을 중심으로, 시력을 잃지 않은 그는 트리피드의 위협과 사회 붕괴 속에서 생존을 위해 고군분투하며, 새로운 공동체를 찾아가는 과정을 그린다. 이 작품은 포스트 아포칼립스 장르의 선구적인 작품으로 평가받으며, 여러 차례 영화, 드라마, 라디오 드라마 등으로 각색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시각 장애인을 소재로 한 소설 - 아마기 브릴리언트 파크
아마기 브릴리언트 파크는 폐쇄 위기에 놓인 놀이공원을 운영하게 된 소년 카니에 세이야가 메이플 랜드에서 온 난민들과 함께 10만 명의 방문객을 유치하기 위해 노력하는 이야기를 그린 라이트 노벨 시리즈이다. - 시각 장애인을 소재로 한 소설 - 눈먼 자들의 도시
눈먼 자들의 도시는 원인불명의 백색 실명 전염병으로 사회가 붕괴되는 상황에서 인간의 본성과 사회 시스템의 취약성을 드러내고 연대와 인간 존엄성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주제 사라마구의 1995년 소설이다. - 식물을 소재로 한 작품 - 극장판 도라에몽: 진구와 초록거인전
극장판 도라에몽: 진구와 초록거인전은 2008년 개봉한 도라에몽 영화 시리즈로, 도라에몽과 친구들이 '키보'라는 나무와 함께 지구를 구하기 위한 모험을 펼치며 인류의 환경 파괴에 대한 경고와 자연과의 공존이라는 메시지를 담고 있고, 2009년 일본 아카데미상 애니메이션 작품상 후보에 올랐다. - 식물을 소재로 한 작품 - 가면라이더 가이무
2013년부터 2014년까지 방영된 《가면라이더 가이무》는 과일을 모티브로 한 아머드 라이더들이 등장하여 스트리트 댄스팀 간의 갈등, 숲의 위협, 기업의 음모가 얽힌 어둡고 복잡한 스토리를 다룬 헤이세이 가면라이더 시리즈의 15번째 작품이다. - 1951년 소설 - 제2의 책
제2의 책은 알려진 내용이 없는 항목이며, 추가 정보가 없어 구체적인 내용을 파악하기 어렵다. - 1951년 소설 - 캐스피언 왕자
《캐스피언 왕자》는 C.S. 루이스의 《나니아 연대기》 두 번째 작품으로, 피벤시 남매가 나니아를 되찾기 위해 캐스피언 왕자와 함께 텔마르의 왕 미라즈에 대항하여 아슬란의 도움을 받아 나니아의 자유를 되찾는 내용을 담고 있다.
트리피드의 날 - [서적]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제목 | 트리피드의 날 |
원제 | The Day of the Triffids |
저자 | 존 윈덤 |
국가 | 영국 |
언어 | 영어 |
장르 | 과학 소설 포스트 아포칼립스 SF |
출판사 | 마이클 조셉 |
출판일 | 1951년 12월 |
미디어 유형 | 인쇄 (하드커버 및 페이퍼백) |
페이지 수 | 304 (초판, 하드커버) |
ISBN | 0-7181-0093-X |
ISBN_note | (초판, 하드커버) |
OCLC | 152201380 |
이전 작품 | 플래닛 플레인 |
다음 작품 | 크라켄 웨이크스 |
관련 작품 | |
영화 | 트리피드의 날 |
기타 | |
BBC 빅 리드 | 200위 안에 선정 |
2. 줄거리
눈을 다쳐 병원에 입원 중이던 빌 메이슨은 어느 날 아침 이상한 적막을 느끼고 깨어난다. 스스로 붕대를 풀고 시력을 회복한 그는 전날 밤에 있었던 초록색 유성우 때문에 사람들이 모두 시력을 잃었다는 것을 알게 된다.
빌은 원래 트리피드 재배 업체 직원이었다. 소련에서 개발된 육식성 보행 식물 트리피드는 세 개의 발로 기어다니고 긴 촉수에 달린 독침으로 동물을 공격했다. 트리피드는 우연히 전 세계로 퍼져나가 인간에게도 위협이 되었지만, 질 좋은 식용유의 원료였기 때문에 엄격한 관리 하에 상업적으로 이용되었다. 빌은 트리피드 재배장에서 독액이 눈에 들어가는 사고를 당했고, 병원에서 눈을 붕대로 가리고 있었기 때문에 실명되지 않았다.
빌은 시력이 온전한 여성 조젤라 플레이턴을 구하고, 비들리가 이끄는 생존자 집단에 합류하여 시골로 피난하려는 계획에 참여한다. 하지만 코커의 계략으로 시력 보유자들은 수갑과 쇠사슬을 차고 시력 상실자들의 길잡이 노릇을 하게 된다. 얼마 후, 다른 생존자 집단의 총격, 트리피드의 공격, 전염병으로 생존자들이 줄줄이 사망하자, 빌은 헤어진 조젤라를 찾아 런던을 떠나기로 결심한다.
빌은 코커와 친구가 되어 생존자 집결지인 틴셤 장원에 도착하지만, 지도자 듀런트 여사의 경직된 사고방식에 실망하고 다시 떠난다. 비들리 일행과의 합류가 불발되자, 빌은 조젤라가 언급했던 남쪽의 피난처로 향한다. 도중에 고아 소녀 수전을 만나고, 셔닝 농장에 도착해 조젤라와 합류한다. 그는 시력 상실자인 농장 식구들과 자급자족하며 트리피드의 포위 공격을 이겨낸다.
유성우 출현 6년 후, 비들리 일행이 와이트 섬에 정착했다는 소식이 전해진다. 곧이어 전체주의 성향의 생존자 집단이 셔닝 농장을 접수하고 수전을 데려가겠다고 통보한다. 빌은 기지를 발휘해 침입자들을 속이고, 식구들을 이끌고 셔닝 농장을 떠나 와이트 섬의 공동체로 향한다. 그리고 트리피드에게 빼앗긴 땅을 되찾겠다고 다짐한다.
3. 등장인물
: 주인공이자 생물학자. 움직일 수 있고 독성이 있는 육식성 식물인 트리피드를 연구한다. 트리피드는 소련에서 생명공학으로 만들어졌으나 야생으로 풀려났다고 추측된다. 트리피드의 기름은 산업적 가치가 높아 전 세계적으로 재배된다. 빌은 트리피드의 독침에 찔려 병원에 입원했다가, 유성우를 본 사람들이 실명하게 된 후 혼란 속에서 생존을 위해 노력한다.
: 부유한 소설가. 맹인에게 강제로 안내자로 이용당하다 빌에게 구출된다. 빌과 함께 런던 대학교 상원 건물의 생존자 그룹에 합류한다.
: 어린 소녀. 트리피드에게 남동생을 잃고 혼자 갇혀 있다가 빌에게 구출된다.
: 대학에 방화 사건을 일으키고 빌과 조젤라를 포함한 시력 있는 사람들을 납치한다. 맹인들을 이끌고 물품을 수집하는 임무를 맡지만, 나중에 빌과 함께 조셀라를 찾아 나선다.
: 컨트리사이드에 식민지를 건설할 계획을 세운 시력 있는 생존자 그룹의 리더이다.
: 종교적인 인물로, 비들리의 일부다처제 계획에 충격을 받는다.
4. 작품 배경 및 주제
주인공 빌 메이슨은 생물학자로, 소련에서 생명공학 기술로 만들어져 우발적으로 야생에 퍼진 것으로 추정되는 육식성 보행 식물 트리피드를 연구하며 생계를 유지했다. 트리피드에서 생산되는 기름은 산업적 가치가 높아 전 세계적으로 트리피드 재배가 활발하게 이루어졌다.
빌은 트리피드의 독침에 찔려 눈에 독이 튀는 바람에 붕대를 감은 채 병원에 입원하게 된다. 회복 중에 그는 예상치 못한 녹색 유성우에 대해 듣게 되고, 다음 날 아침, 이 기이한 현상을 본 모든 사람들이 실명했다는 것을 알게 된다. 붕대를 풀자 병원은 시력을 잃은 직원과 환자들로 혼란에 빠져 있었다. 런던을 돌아다니던 빌은 맹인에게 강제로 안내자 역할을 강요받던 소설가 조셀라 플레이턴을 구출한다. 어두워진 도시에서 런던 대학교 상원 건물 꼭대기의 불빛에 매료된 빌과 조셀라는, 비들리가 이끄는 시력 있는 생존자 그룹에 합류하여 시골로 피난하려는 계획에 동참한다.
하지만 과격한 선동가 코커의 계략으로 시력 보유자들은 수갑과 쇠사슬에 묶여 강제로 시력 상실자들의 길잡이 노릇을 하게 된다. 설상가상으로 다른 생존자 집단의 공격, 트리피드의 습격, 전염병 등으로 생존자들은 줄줄이 사망하고, 빌은 혼란 중에 헤어진 조젤라를 찾아 런던을 떠나기로 결심한다.
빌은 실패를 인정한 코커와 협력하여 생존자 집결지인 틴셤 장원에 도착하지만, 지도자 듀런트 여사의 경직된 사고방식에 실망하여 다시 길을 떠난다. 비들리 일행과의 합류가 무산되자, 조젤라가 언급했던 남쪽의 피난처로 향한다. 도중에 고아 소녀 수전을 만난 빌은 천신만고 끝에 셔닝 농장에 도착해 조젤라와 재회하고, 시력을 잃은 농장 식구들과 자급자족하며 트리피드의 포위 공격에 맞서 힘겹게 살아간다.
유성우 발생 6년 후, 비들리 일행이 와이트 섬에 정착했다는 소식이 전해진다. 곧이어 전체주의 성향의 생존자 집단이 농장을 접수하고 수전을 데려가겠다고 통보해 온다. 빌은 위기 상황에서 기지를 발휘해 침입자들을 속이고, 식구들을 이끌고 농장을 떠나 와이트 섬의 공동체로 향한다.
4. 1. 냉전 시대의 불안
윈덤은 H. G. 웰스의 1897년 작품 ''우주 전쟁''이 ''트리피드의 날''에 미친 영향을 인정했다.[7][8] 소설의 일부 판본에서 트리피드는 소련의 농학자 트로핌 리센코의 이론과 관련이 있는데, 그는 라마르크주의의 지지자였으나 결국 그의 주장은 철저히 반박되었다.[9]블리츠 기간 동안 윈덤은 화재 감시원이었고, 나중에는 향토방위대의 일원이었다. 그는 블룸즈버리의 옥상에서 런던의 파괴를 목격했다. 그는 그의 오랜 파트너에게 보낸 편지에서, 심한 폭격 이후 런던의 기이한 침묵을 포함한 많은 장면과 사건들을 묘사했는데, 이 편지들은 결국 ''트리피드의 날''에 포함되었다.[10]
비평가들은 트리피드와 1945년 이후 유럽에서 일어난 탈식민화 사이의 유사점을 강조하기도 했다.
소설이 쓰여질 당시에는 애틀리 내각의 결성 이후 영국에 새로운 복지 국가가 등장했다. 코커가 시력을 가진 사람들을 시력이 없는 사람들에게 강제로 묶는 것은 1945년 노동당의 선거 승리 이후 그들이 도입한 변화에 대해 일부 중산층 영국 시민들이 느꼈던 감정을 반영한다.
냉전 시대에 쓰여져 그 영향을 강하게 받은 소설이다. 작중에서는 트리피드가 유전자 조작에 의해 인위적으로 만들어졌다는 점과, 지성을 가지고 있는 것이 아니냐는 점이 시사된다. 또한, 유성우 역시 인류가 우주로 발사했던 인공위성 등 어떤 종류의 병기의 작동이었던 것은 아닌지, 유성우 후에 발생한 수수께끼의 역병도 그런 것이 아닌가 하는 빌의 추측이 이야기의 종반에 제시된다. "우주에서 지구를 향해 무언가가 떨어져 내린다"는 도입부나, "세 다리로 걸어 다니는 적에게 영국이 점령당한다"는 설정 등, H. G. 웰스의 우주 전쟁과의 유사성이 지적되고 있다.
4. 2. 과학기술에 대한 양면적 시각
생명공학으로 소련에서 만들어져 야생으로 우발적으로 풀려난 것으로 의심되는 트리피드와, 인류가 우주로 발사한 인공위성 병기 작동으로 추정되는 유성우 등은 과학기술에 대한 양면적 시각을 보여준다.[7][8] 특히 트리피드는 트로핌 리센코의 이론과 연관되어 언급되는데, 이는 리센코주의가 스탈린주의자들에 의해 옹호되던 시대적 배경을 반영한다.[9]작중에서는 트리피드가 유전자 조작에 의해 인위적으로 만들어졌다는 점과, 지성을 가지고 있는 것이 아니냐는 점이 시사된다. 또한, 유성우 역시 인류가 우주로 발사했던 어떤 종류의 병기의 작동이었던 것은 아닌지, 유성우 후에 발생한 수수께끼의 역병도 그런 것이 아닌가 하는 빌의 추측이 이야기의 종반에 제시된다.
마이클 더글러스 그린은 "존 윈덤의 주요 소설에 나타난 사회 비판: 문명의 비밀과 자연의 진실"이라는 석사 논문에서 소설의 종말에 기여한 다른 과학적 요소에 대해 다음과 같이 썼다.
위의 인용문들 또한 제거되어야 한다.
4. 3. 문명 붕괴 이후의 사회 재건
어느 날 밤, 녹색 유성우가 쏟아져 전 세계 사람들이 그 천체 쇼를 목격한다. 보행하는 식용 식물 '트리피드' 재배장에서 일하던 빌 메이슨은 트리피드의 독이 든 채찍에 눈을 맞아 치료를 위해 입원하여 눈을 붕대로 가리고 있었기 때문에 유성우를 보지 못했다. 다음 날은 빌의 붕대를 푸는 날이었지만, 아침에 일어나 주변의 모습이 달라진 것을 깨달은 그는 스스로 붕대를 푼다. 유성우를 본 사람들은 모두 맹인이 되어 있었다. 빌은 아무도 눈이 보이지 않아 절망에 휩싸인 런던 거리를 걷기 시작한다.런던에는 빌 외에도 여러 가지 이유로 유성우를 보지 못해 눈이 보이는 사람들이 공동체를 이루고 있었다. 그 일원이 된 빌은 맹인이 된 사람들을 돕지만, 눈이 보이는 사람은 절대적으로 소수이고 도시 기능은 정지되어 점차 맹인들이 짐이 되기 시작하고, 앞으로 어떻게 할 것인가에 대한 논의가 시작된다. 설상가상으로, 수수께끼의 역병과 트리피드의 탈주가 발생한다.
역병으로 많은 동료를 잃고 도시와 농촌이 모두 트리피드에게 지배당하기 시작한 영국에서, 빌 일행은 런던에서 탈출하지 않을 수 없게 된다. 각지의 생존자들을 모아 영국 국내를 농촌으로 퇴각하면서, 살아남기 위해, 그리고 트리피드로부터 세계를 되찾기 위한 싸움을 시작하지만, 그것은 인류에게 압도적으로 불리한 퇴각전이었다. 마침내 영국 본토를 포기한 빌 일행은 섬인 와이트 섬으로 이동하여, 어떻게든 섬 내의 트리피드를 근절하고 트리피드에 대한 반격과 문명 재건을 위한 거점을 확보하게 된다.
4. 4. 인간 본성에 대한 탐구
생물학자인 주인공 빌 메이슨은 트리피드를 연구하며, 이 식물이 소련에서 생명공학으로 만들어졌으나 우발적으로 야생에 퍼졌다고 의심한다. 트리피드의 기름은 산업적 가치가 높아 전 세계적으로 재배된다. 빌은 트리피드의 독침에 찔려 병원에 입원 중, 녹색 유성우를 보지 못해 실명 위기를 피한다. 그는 맹인이 된 사람들 속에서 살아남아 사회 재건을 위한 투쟁에 참여한다.[23]트리피드는 윈덤이 고안한 보행성 육식 식물이다. 3개의 굵고 튼튼한 뿌리를 들어 올려 보행이 가능하며, 머리에서 돋아나는 맹독성 가시털로 동물을 죽여 그 부패한 시체를 영양으로 삼는다. 양질의 식물유를 얻을 수 있기 때문에 목걸이와 쇠사슬을 채운 상태로 대규모 재배되었지만, 알 수 없는 원인으로 인류의 대부분이 맹목이 된 이른바 "트리피드의 날" 이후 쇠사슬을 끊고 야생화되어 살아남은 인류의 큰 위협이 되었다. 트리피드끼리 어떤 방법으로든 소통을 하고 있을 가능성이 빌의 추리를 통해 시사되었다.
『트리피드의 날』에서는 파리지옥을 연상시키는 디자인으로 되어 있다. 원작에서는 원래 재배되던 것이 야생화된 것으로 되어 있지만, 영화에서는 유성우 이후에 어디선가 나타난 수수께끼의 식물이며, 후반부에 원작에는 없는 약점이 존재한다는 것이 밝혀져 이야기는 해피엔딩으로 끝난다.
5. 영향 및 평가
《트리피드의 날》은 포스트 아포칼립스 장르의 선구자로 평가받으며, 이후 여러 작품에 큰 영향을 주었다. 특히 주제 사라마구의 소설 《눈먼 자들의 도시》, 좀비 영화 《28일 후》등이 이 작품과 유사한 설정을 가지고 있다.
미국에서는 더블데이 & 컴퍼니가 1951년 판권을 소유하고 있으며, 요약본은 1951년 1월과 2월에 ''콜리어스'' 잡지에 연재되었다. 무삭제판 페이퍼백은 1960년대 후반에 포셋 퍼블리케이션스 월드 라이브러리의 크레스트 북 임프린트로 더블데이와 협의하여 출판되었다.[6]
이 책은 아서 C. 클라크가 "불멸의 이야기"라고 부르는 등[12] 다른 SF 작가들로부터도 호평을 받았다. 포레스트 J. 애커먼은 《어스토운딩 SF》에 《트리피드의 날》이 "다소 맥 빠지지만 어쩌면 불가피한 결말을 제외하고는 매우 훌륭하게 전개되었다"라고 썼다.[14]
존 클루트는 이 책이 "안전하다"는 이유로 학교 교과 과정에 정기적으로 채택되었다고 언급했다.[16] 로버트 M. 필머스는 이 책이 H. G. 웰스의 더 훌륭한 작품들을 모방했다고 말했다.[16] 그로프 콘클린은 이 소설의 첫 출판에 대해 "그저 그런 평범한 작품"이자 "SF 걸작을 찾고 있는 것이 아니라면 즐겁게 읽을 수 있다"고 평했다.[18]
5. 1. 포스트 아포칼립스 장르의 선구자
《트리피드의 날》은 포스트 아포칼립스 장르의 선구자 중 하나로, 이후 여러 작품에 영향을 주었다. 주제 사라마구의 소설 《눈먼 자들의 도시》는 원인 불명의 질환으로 주인공을 제외한 인류가 시력을 잃고 문명이 붕괴한다는 점에서 유사한 소재를 다루고 있다. 좀비 영화 《28일 후》는 사고로 입원해서 운 좋게 재난을 면한 주인공이라는 설정이 유사하며, 감독 대니 보일과 각본가 앨릭스 갈런드는 《트리피드의 날》에서 영향받았음을 밝혔다.[6] 배리 랭퍼드는 《28일 후》의 처음 45분은 《트리피드의 날》의 1~3장과 똑같고, 좀비를 첨가해 약간 수정했을 뿐이라고 단언했다.이 책은 칼 에드워드 와그너가 꼽은 13개의 최고의 SF 호러 소설 중 하나이며,[11] 아서 C. 클라크는 "불멸의 이야기"라고 불렀다.[12] 앤서니 부처와 J. 프랜시스 맥코머스는 "이처럼 상세한 개연성과 인간적인 즉각성을 가지고 [사태의] 붕괴를 다룬 경우는 드물며, 이토록 특이하고 끔찍한 원인으로 붕괴를 귀속시킨 적은 결코 없었다."라고 칭찬했다.[13]
브라이언 올디스는 종전 후의 묵시록적 SF 하위 장르를 묘사하기 위해, 사회가 멸망하고 소수의 생존자만 남아 비교적 편안한 삶을 누릴 수 있는 아늑한 재앙이라는 비판적인 문구를 만들었다.[15] 그는 《트리피드의 날》을 예시로 들면서 이 작품을 "아이디어가 전혀 없다"고 묘사했다.[16] 그러나 일부 최근 평론가들은 이러한 견해에 반박했다. 마거릿 애트우드는 "모든 사람이 죽지 않았다고 해서 윈덤이 참전했던 제2차 세계 대전을 '아늑한' 전쟁이라고 부르는 것과 같다"고 썼다.[17]
5. 2. 대중문화 속의 트리피드
《트리피드의 날》은 포스트 아포칼립스 장르의 선구자 중 하나로서, 이후 여러 작품에 영향을 주었다. 특히 주제 사라마구의 소설 《눈먼 자들의 도시》는 원인 불명의 질환으로 주인공을 제외한 인류가 시력을 잃고 문명이 붕괴한다는 점에서 유사한 소재를 다루고 있다. 좀비 영화 《28일 후》는 사고로 입원해서 운좋게 재난을 면한 주인공이라는 설정이 유사하며, 감독인 대니 보일과 각본가인 앨릭스 갈런드 또한 《트리피드의 날》에서 영향받았음을 밝힌 바 있다.[19] 연출가 배리 랭퍼드는 《28일 후》의 처음 45분은 《트리피드의 날》의 1~3장과 똑같고, 좀비를 첨가해 약간 수정했을 뿐이라고 단언했다.켈리 라고르의 2012년 단편 소설 "트리피드를 만드는 법"에는 트리피드를 설계하기 위해 조작할 수 있는 가능한 유전자 경로에 대한 논의가 포함되어 있다.[20]
6. 한국어 번역본
출판 연도 | 제목 | 번역자 | 출판사 | 비고 |
---|---|---|---|---|
1977년 | 걷는 식물 트리피드 | 이영재 | 아이디어회관 | |
1983년 | 지구 멸망의 날 | 유한근 | 계림출판사 | |
1988년 | 괴기식물 트리피드 | 황명 | 계림출판사 | |
1996년 2월 | 걷는 식물 트리피드 | 신영희 | 고려원 | |
2005년 8월 | 괴기 식물 트리피드 | 신영희 | 옹기장이 | |
2016년 10월 | 트리피드의 날 | 박중서 | 폴라북스 |
7. 각색
트리피드의 날은 대중적인 인기에 힘입어 여러 차례 각색되었다.
1953년 BBC 홈 서비스에서 15분 분량으로 15회에 걸쳐 소설 낭독이 있었다.(낭독: 프랭크 던컨)
자일스 쿠퍼는 1957년 BBC 라이트 프로그램을 위해 30분짜리 6개 에피소드로 소설을 각색했으며,[30] 제작은 피터 와츠가 맡았다.[31] 쿠퍼는 1968년 BBC 라디오 4를 위해 두 번째 버전을 각색하여 6월 20일부터 7월 25일까지 방송했다. 제작은 존 파월, BBC 레디오포닉 워크숍의 데이비드 케인이 음악을 담당했다.[32][33]
1968년 독일 베스트도이처 룬트 funk(WDR) 쾰른에서 각색되었으며(번역: 하인 브루엘),[34] 2008년 1월 WDR5에서 4개 에피소드 시리즈로 재방송되었다. 1969년 노르웨이 노르스크 릭스링크링스(NRK)에서 각색되었으며(번역: 크누트 요한센), 2012년 9월과 10월에 NRK에서 6개 에피소드 시리즈로 재방송되었다. 노르웨이 버전은 CD와 iTunes에서도 구할 수 있다.[35]
1971년 BBC 라디오 4에서 15분 분량 10회로 소설 낭독이 있었고(낭독: 가브리엘 울프), 1973년 9월 21일 BBC 라디오 4에서 학교를 위한 20분 분량의 발췌본이 방송되었다.(각색 및 제작: 피터 포자드) 1980년 BBC 라디오 4/우먼스 아워에서 15분 분량 14회로 소설 낭독이 있었다.(낭독: 데이비드 애시포드)
2001년 랜스 댄이 BBC 월드 서비스를 위해 45분 분량 2개 에피소드로 각색했다. 9월 8일과 22일에 방송되었고, 로잘린드 워드가 연출, 사이먼 러셀이 음악을 담당했다. 2001년 9월 15일에 방송 예정이었던 에피소드 2는 9.11 테러로 인해 일정이 변경되었다. 각 에피소드 후에는 책에 대한 15분 분량의 다큐멘터리가 방송되었다. 2004년 BBC 라디오 7에서 30분 분량 17회로 소설 낭독이 있었다.(낭독: 로저 메이)
다음은 각색된 라디오 드라마의 등장인물 및 배우 목록이다.
등장인물 | 1957 | 1968 | 2001 |
---|---|---|---|
빌 메이슨 | 패트릭 바 | 게리 왓슨 | 제이미 글로버 |
조젤라 플레이턴 | 모니카 그레이 | 바바라 셸리 | 트레이시-앤 오버먼 |
코커 | 말콤 헤이즈 | 피터 샐리스 | 리 잉글비 |
자크 대령 | 아서 영 | 앤서니 비카스 | 제프리 화이트헤드 |
마이클 비들리 | 존 샤플린 | 마이클 맥클레인 | |
듀란트 양 | 몰리 럼리 | 힐다 크리세몬 | 리첸다 캐리 |
보리스 박사 | 던컨 맥킨타이어 | 빅터 루카스 | |
수잔 | 가브리엘 블런트 | 질 캐리 | 루시 트리켓 |
데니스 브렌트 | 리처드 마틴 | 데이비드 브리얼리 | |
메리 브렌트 | 쉴라 매나한 | 프리다 도위 | |
조이스 테일러 | 마고 맥알리스터 | 마가렛 로빈슨 | |
토렌스 | 트레버 마틴 | 헤이든 존스 |
마블 코믹스는 잡지 ''미지의 공상 과학의 세계''(1975)에서 이 이야기를 각색했다. ''The Outer Limits'' 에피소드 "Specimen: Unknown"도 이 소설의 영향을 받았다.
7. 1. 영화
1962년 최초의 영화판이 개봉하였다. BBC는 1981년에 TV 드라마로, 2009년에 텔레비전 영화로 제작하였다.[24][25][26][27][28]- 1962년 영국에서 스티브 세클리 감독, 하워드 킬 주연으로 영화화되었다. 트리피드가 집단으로 인간을 습격하는 장면은 1968년 조지 A. 로메로 감독의 좀비 영화 살아있는 시체들의 밤에서 좀비가 인간을 습격하는 장면 묘사에 큰 영향을 준 것으로 알려져 있다.
- 스티브 세켈리가 감독하고 버나드 고든이 각본을 쓴 영국 영화 영화 버전은 스페인에서 촬영되어 1962년 7월에 개봉되었다. 이 영화는 소설과 달리 트리피드가 운석우에서 온 포자를 통해 지구에 도착했다고 암시했다.
- 2009년 12월, BBC에서 ER 긴급 구조실', '로앤오더' 등으로 알려진 각본가 패트릭 하빈슨의 시나리오로 전후 2부 구성의 텔레비전 영화가 방송되었다. 러닝 타임은 각 90분이며, 더그레이 스콧, 조엘리 리처드슨, 브라이언 콕스, 바네사 레드그레이브, 에디 이자드, 제이슨 프리스틀리 등이 출연하였다.
- 2010년 9월, ''버라이어티''는 제작자 돈 머피와 마이클 프레거가 3D 영화 버전을 계획하고 있다고 발표했다.
- 애니메이션 영화 ''짱구는 못말려: 나의 이사 이야기 선인장 대습격!''(2015)은 트리피드가 살인 선인장으로 대체된 유사한 설정을 가지고 있다.
7. 2. 텔레비전 드라마
1981년 BBC에서 6부작 텔레비전 드라마 버전을 제작했다. 각 에피소드는 30분 분량이었다. 이 드라마는 1990년대 초 UKGold에서 처음 방영되었고, 국제 판매용으로 편집되어 3개의 50분짜리 에피소드로 방영되었다. 이후 2006년, 2007년, 2009년, 2014년에 BBC Four에서 재방송되었다. 존 더틴이 빌 메이슨 역을 맡았으며, 소설에 비교적 충실하게 당시를 배경으로 설정했다. 트리피드 오일이 에너지 절약형 연료 첨가제로 재배되는 설정이 사용되었다.2009년 12월, BBC는 ''ER''와 ''Law & Order'' 작가인 패트릭 하빈슨이 각본을 맡은 새로운 버전을 방송했다. 이 버전에서는 더그레이 스콧이 빌 메이슨 역, 조엘리 리처드슨이 조 플레이턴 역, 브라이언 콕스가 데니스 메이슨 역, 바네사 레드그레이브가 듀란트 역, 에디 이자드가 토렌스 역, 제이슨 프리스틀리가 코커 역으로 출연했다. 첫 번째 에피소드는 약 610만 명이 시청했다. 트리피드는 원래 자이레에서 진화했으며, 그들의 오일은 지구 온난화를 막기 위한 대체 연료로 사용된다는 설정이었다. 지구의 재인구화와 전염병의 요소는 다루어지지 않았고, 지구가 태양 플레어로 인해 눈이 멀게 되었다는 점이 소설과 달랐다.
아마존 스튜디오는 요한 렌크가 감독 및 총괄 프로듀서를 맡고 Angry Films에서 제작하는 소설의 텔레비전 시리즈 각색을 발표했다. 일본에서는 1981년 BBC 버전이 2006년에 The Day of the Triffids (1981 TV series)|데이 오브 더 트리피드영어라는 제목으로 DVD가 출시되었고,[2] 2009년 BBC 버전은 2012년에 The Day of the Triffids (2009 TV series)|라스트 데이즈 오브 더 월드영어라는 제목으로 DVD가 출시되었다. 렌탈판 DVD는 [EPISODE 1: 트리피드의 날]과 [EPISODE 2: 인류 SOS]의 2장으로 나뉘어져 있다.[2]
7. 3. 라디오 드라마
트리피드의 날은 대중적 인기에 힘입어 라디오 드라마와 영상물로 여러 차례 각색되었다.[30] 1953년에는 BBC 홈 서비스에서 15분 분량 15회로 소설 낭독이 있었다. (낭독: 프랭크 던컨)- 1957년 자일스 쿠퍼는 BBC 라이트 프로그램을 위해 30분짜리 6개의 에피소드로 소설을 각색했다.[30] 제작은 피터 와츠가 맡았다.[31]
- 1968년 쿠퍼는 BBC 라디오 4를 위해 두 번째 버전을 각색했다. 6월 20일부터 7월 25일까지 방송되었으며, 제작은 존 파월, BBC 레디오포닉 워크숍의 데이비드 케인이 음악을 담당했다.[32][33]
- 1968년 독일 베스트도이처 룬트 funk(WDR) 쾰른에서 각색되었으며, 하인 브루엘이 번역했다.[34] 2008년 1월 WDR5에서 4개의 에피소드 시리즈로 재방송되었다.
- 1969년 노르웨이 노르스크 릭스링크링스(NRK)에서 각색되었으며, 크누트 요한센이 번역했다. 2012년 9월과 10월에 NRK에서 6개의 에피소드 시리즈로 재방송되었다. 노르웨이 버전은 CD와 iTunes에서도 구할 수 있다.[35]
- 1971년 BBC 라디오 4에서 15분 분량 10회로 소설 낭독이 있었다. (낭독: 가브리엘 울프)
- 1973년 9월 21일 BBC 라디오 4에서 학교를 위한 20분 분량의 발췌본이 방송되었으며, 피터 포자드가 각색하고 제작했다.
- 1980년 BBC 라디오 4/우먼스 아워에서 15분 분량 14회로 소설 낭독이 있었다. (낭독: 데이비드 애시포드)
- 2001년 랜스 댄이 BBC 월드 서비스를 위해 45분 분량 2개의 에피소드로 각색했다. 9월 8일과 22일에 방송되었고, 로잘린드 워드가 연출, 사이먼 러셀이 음악을 담당했다. 2001년 9월 15일에 방송 예정이었던 에피소드 2는 9.11 테러로 인해 일정이 변경되었다. 각 에피소드 후에는 책에 대한 15분 분량의 다큐멘터리가 방송되었다.
- 2004년 BBC 라디오 7에서 30분 분량 17회로 소설 낭독이 있었다. (낭독: 로저 메이)
다음은 각색된 라디오 드라마의 등장인물 및 배우 목록이다.
등장인물 | 1957 | 1968 | 2001 |
---|---|---|---|
빌 메이슨 | 패트릭 바 | 게리 왓슨 | 제이미 글로버 |
조젤라 플레이턴 | 모니카 그레이 | 바바라 셸리 | 트레이시-앤 오버먼 |
코커 | 말콤 헤이즈 | 피터 샐리스 | 리 잉글비 |
자크 대령 | 아서 영 | 앤서니 비카스 | 제프리 화이트헤드 |
마이클 비들리 | 존 샤플린 | 마이클 맥클레인 | |
듀란트 양 | 몰리 럼리 | 힐다 크리세몬 | 리첸다 캐리 |
보리스 박사 | 던컨 맥킨타이어 | 빅터 루카스 | |
수잔 | 가브리엘 블런트 | 질 캐리 | 루시 트리켓 |
데니스 브렌트 | 리처드 마틴 | 데이비드 브리얼리 | |
메리 브렌트 | 쉴라 매나한 | 프리다 도위 | |
조이스 테일러 | 마고 맥알리스터 | 마가렛 로빈슨 | |
토렌스 | 트레버 마틴 | 헤이든 존스 |
1960년에는 영국 방송 협회(BBC)에서 라디오 드라마화되었다.
참조
[1]
웹사이트
Series: The Day of the Triffids
http://www.radioecho[...]
[2]
웹사이트
Locus Index to SF Awards
http://www.locusmag.[...]
[3]
간행물
The Big Read
https://www.bbc.co.u[...]
BBC
2012-10-31
[4]
학술지
Exclusive: Ex Machina writer/director Alex Garland on 'small' sci-fi films, sentient machines and going mainstream
https://www.syfy.com[...]
2019-10-25
[5]
웹사이트
Stamps to feature original artworks celebrating classic science fiction novels
https://www.yorkpres[...]
2022-09-20
[6]
서적
The Day of the Triffids
Fawcett Crest
1970-04
[7]
서적
Introduction
[8]
서적
Science Fiction, Ethics and the Human Condition
Springer
[9]
학술지
'A Very Primitive Matter': John Wyndham on Catastrophe and Survival
https://www.proquest[...]
2015
[10]
서적
HIDDEN WYNDHAM : life, love, letters.
GRACE JUDSON PRESS
2019-10
[11]
서적
Black Prometheus: A Critical Study of Karl Edward Wagner
Gothic Press
[12]
웹사이트
Sir. Arthur Charles Clarke
http://www.neo-forum[...]
2018-06-21
[13]
간행물
Recommended Reading
1951-08
[14]
간행물
Book Reviews
1951-08
[15]
서적
Billion year spree: the history of science fiction
Weidenfeld & Nicolson
[16]
서적
Generation Zombie: Essays on the Living Dead in Modern Culture
https://books.google[...]
McFarland
[17]
뉴스
The Forgotten Sci-Fi Classic That Reads Like a Prequel to E.T.
https://slate.com/cu[...]
2015-09-08
[18]
학술지
Five Star Shelf
1951-08
[19]
뉴스
A capital place for panic attacks
https://www.theguard[...]
2007-05-06
[20]
웹사이트
How to Make a Triffid
https://reactormag.c[...]
2012-11-14
[21]
학위논문
Social critique in the major novels of John Wyndham: civilization's secrets and nature's truths
https://spectrum.lib[...]
Concordia University
2000
[22]
학술지
Gender and Ethnicity in Post-Apocalyptic Suburbia
https://www.jstor.or[...]
2016
[23]
학술지
Everything Slipping Away: John Wyndham's The Day of the Triffids
https://www.jstor.or[...]
1991
[24]
서적
A History of Horrors: The Rise and Fall of the House of Hammer
https://archive.org/[...]
Scarecrow Press
[25]
서적
Do You Want It Good or Tuesday? From Hammer Films to Hollywood! A Life in the Movies: An Autobiography
Midnight Marquee Press
[26]
웹사이트
The Day of the Triffids
https://www.imdb.com[...]
IMDb
2013-05-22
[27]
뉴스
3D triumph for 'Triffids'?
https://variety.com/[...]
2010-09-23
[28]
뉴스
Cinema Today Review
http://www.cinematod[...]
[29]
서적
Zlatý fond her
Mladá fronta
[30]
서적
Historical Dictionary of British Radio
https://books.google[...]
Rowman & Littlefield
2015-04-21
[31]
웹사이트
"Patrick Barr in 'THE DAY OF THE TRIFFIDS' – Light Programme – 23 October 1957 – BBC Genome"
http://genome.ch.bbc[...]
2016-07-06
[32]
웹사이트
The Day of the Triffids: Part 1: The End Begins
http://genome.ch.bbc[...]
BBC Genome Beta
2018-02-27
[33]
웹사이트
The Day of the Triffids: Part 6: Strategic Withdrawal
http://genome.ch.bbc[...]
BBC Genome Beta
2018-02-27
[34]
서적
Locating Science Fiction
https://books.google[...]
Liverpool University Press
2019-12-03
[35]
웹사이트
Nostalgisk grøss
http://www.nrk.no/pr[...]
NRK
2012-10-01
[36]
서적
The outer limits companion
GNP/Crescendo
1998
[37]
뉴스
Coming to the BBC in 2009... The Day of the Triffids
http://www.bbc.co.uk[...]
BBC
2009-12-21
[38]
웹사이트
The Day of The Triffids attracts all-star cast to BBC One
http://www.bbc.co.uk[...]
BBC Press Office
2009-02-11
[39]
뉴스
The Day of the Triffids, BBC1/Tsunami: Caught on Camera, Channel 4
https://www.independ[...]
2012-08-12
[40]
웹사이트
'Triffids' remake brings in 6.1 million
http://www.digitalsp[...]
Digital Spy
2012-08-12
[41]
웹사이트
'The Day of the Triffids' TV Series in Works at Amazon With Johan Renck Directing & Angry Films Producing
https://deadline.com[...]
Deadline Hollywood
2023-03-01
[42]
웹사이트
The Night of the Triffids
https://www.bigfinis[...]
2017-10-25
[43]
서적
Land of the Triffids
Independently published
2016-12-29
[44]
서적
The Age of the Triffids: Amazon Books
[45]
문서
後に [[創元SF文庫]]。
[46]
문서
本名 [[安引宏]]。
[47]
웹인용
알라딘: 트리피드의 날
http://www.aladin.co[...]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